[내외신문 = 하상기 기자] 금융감독원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 관련 공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학계 및 자산운용업계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이로써 ESG 펀드에 대한 공시 제도 마련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번 TF 구성을 통해 자산운용업계와 함께 ESG 펀드 공시기준을 도입한다. 이에 따라 자산운용사들은 ESG 펀드의 투자 대상 및 투자 방식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해야 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ESG 펀드의 투자 대상 및 투자 방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ESG 펀드를 포함한 친환경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ESG 펀드의 투자 대상 및 투자 방식 등에 대한 정보 공개가 필요해진 것이 반영될까하는 것에는 반신반의(易如反掌)다.
그건 금감원이 ESG 펀드 공시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학계 및 자산운용업계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작업을 통해 ESG 펀드에 대한 공시제도가 마련될 예정이며, 공시기준에는 투자전략, 운용능력, 운용실적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고 밝혔는데 ESG은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즉 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 가지는 책임을 평가하는 지표인데 ESG 투자는 환경 문제, 사회 문제, 지배구조 문제 등을 고려한 투자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다.
ESG 투자의 특징으로는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를 고려하며,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한다는 사전적 얘기다. 또한, 기업이 사회 책임을 다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추구할 때, 장기적인 성장과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지금 ESG 펀드의 경우에도 채권형 ESG 펀드가 대세이며, 기업의 ESG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공개하고, 펀드매니저들이 그린워싱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나 감독기관에서 ESG 펀드 운용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엄정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
이유는 ESG 투자는 고수익 혹은 초과수익이 목적이 아닌 환경이나 사회,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자금을 공급하는 공익성이 본질이어야 한다. 그래서 ESG 관련 공시가 어려운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