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애민정신(愛民精神)이 깃든 한글, 세계 문자 역사 속 특별한 한글

동아시아 문자의 비교: 한자와 가나의 한계와 차이점

로마 알파벳과의 차이: 대중적 접근과 한글의 독창성

전태수 기자 | 기사입력 2024/10/09 [10:13]

애민정신(愛民精神)이 깃든 한글, 세계 문자 역사 속 특별한 한글

동아시아 문자의 비교: 한자와 가나의 한계와 차이점

로마 알파벳과의 차이: 대중적 접근과 한글의 독창성

전태수 기자 | 입력 : 2024/10/09 [10:13]
본문이미지

▲ 사진=전태수 기자    

훈민정음, 즉 한글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다. 그 창제에는 세종대왕의 깊은 애민정신(愛民精神)이 담겨 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당시의 복잡한 한자를 배우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직시했고, 누구나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들기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이는 단순히 언어학적 혁신을 넘어, 백성을 위한 세심한 배려의 상징으로, 조선의 학문적 발전과 민생을 고려한 결과였다. 

 

훈민정음은 무엇보다 ‘백성을 위한’ 문자다. 이는 한글 창제의 목적과 원리에서부터 분명하게 드러난다. 세종은 훈민정음을 창제하며 “나랏말씀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통하지 아니하여...백성이 제 뜻을 펴지 못할 이라”라고 말하며, 백성들이 자신의 생각을 쉽게 표현하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하고자 했음을 밝힌다. 세종의 애민정신(愛民精神)은 한글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설계에서도 볼 수 있다. 음운학적 원리에 맞추어 자음과 모음이 조화롭게 결합하도록 만들어진 한글은, 당대뿐만 아니라 현대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의 모범이 되고 있다.

 

중국 한자의 상형적 기원과 한자의 한계에서 시작하다.

 

이에 반해, 중국의 한자는 오랜 세월에 걸쳐 진화된 문자 체계로, 상형문자로 시작해 복잡한 상징적 의미를 담아왔다. 한자는 그 독창적인 아름다움과 의미의 깊이를 지녔으나, 이를 배우고 익히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조선 시대 백성들에게는 이러한 한자의 복잡성이 커다란 장벽이었고, 이는 학문과 소통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유는 바로 이 지점에서 드러난다. 당시의 조선 백성들은 실생활에서 한자 사용이 어려웠으며, 이는 곧 지식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차단하는 결과를 낳았다. 반면, 세종이 창제한 한글은 단순하고 체계적이어서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구조였다. 한자는 상형문자로서 고유한 문화적 자산이지만, 백성을 위한 문자로서의 역할은 제한적이었다는 점에서 한글과 비교된다.

 

 

한편 일본의 가나 문자 또한 한글과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이다. 가나는 한자를 간소화하여 일본 고유의 음운을 표현하기 위한 문자 체계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가나는 한자의 파생물로서, 본질적으로는 한자의 틀 안에서 이루어진 변형에 가깝다. 이와 달리, 한글은 완전히 독립적인 문자로서, 처음부터 백성을 위한 자주적 문자의 필요성에 의해 창제된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가나 문자가 음절 중심으로 이루어진 데 비해, 한글은 음소 문자로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훨씬 더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이는 백성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언어적 요구를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문자 체계를 제공했다. 가나는 일본 내에서 주로 문학적, 일상적 사용에 국한되었으나, 한글은 조선의 모든 계층에서 지식과 소통의 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로마 알파벳 또한 대중을 위한 문자 발달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알파벳은 그리스 문자에서 변형되어 기원전 7세기경에 탄생했고,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여러 언어의 발음을 표현하는 문자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알파벳은 로마 제국의 팽창과 함께 정치적, 문화적 목적을 위해 확산된 것이 주된 특징이며, 한글처럼 애민정신(愛民精神)에 의해 창제된 문자는 아니다.

 

알파벳은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발음을 수용하려는 과정에서 변형되었으며, 그 결과 일부 발음과 문자의 일치성이 부족해졌다. 반면, 한글은 처음부터 소리와 문자의 일대일 대응을 철저히 고려하여 만들어졌으며, 이는 백성들이 배우고 사용하는 데 있어 혼란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했다. 알파벳의 확산은 제국의 확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과정이었지만, 한글은 한 나라의 왕이 백성을 위한 순수한 목적에서 직접 창제한 문자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깊다.

 

 

한글은 그 창제 자체가 애민정신(愛民精神)의 상징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유는 백성들이 한자를 배우지 못해 정보와 지식의 세계에서 소외되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였다. 한글은 그 자체로 과학적이며, 음운학적으로 설계된 문자는 당시 백성들이 읽고 쓰기에 매우 쉬웠다. 이는 조선 사회에 새로운 학문적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나아가 백성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소통의 창구가 되었다.

 

한글의 창제는 단순히 언어의 변화를 넘어선다. 그것은 바로 세종대왕이 백성을 향한 깊은 사랑과 배려에서 비롯된 발명이었다. 한글은 그 실용성뿐만 아니라, 창제 과정 자체가 조선의 학문적 발전과 민중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했다. 이러한 점에서, 한글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愛民精神)이 담긴 위대한 유산임을 다시 한 번 기억해야 한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장
월간기후변화 발행인
내외신문 대표 기자
페이스북 주소: https://www.facebook.com/chuntesu/
인스타그램주소: https://www.instagram.com/chuntesu201/
트위터 주소: https://twitter.com/innogreenor

  • 도배방지 이미지

한글은과학, 전태수, 애민정신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