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 대통령, 6월말 중국 국빈 방문…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정상회담

김가희 | 기사입력 2013/05/26 [23:19]

박 대통령, 6월말 중국 국빈 방문…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정상회담

김가희 | 입력 : 2013/05/26 [23:19]


- 북한의 도발위협과 북한핵 문제

-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중국의 역할 강조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경제협력 논의 예상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하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한·중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그것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보다 먼저 국빈 초대를 받았다.

청와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박 대통령이 3박4일간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베이징과 지방도시 한 곳을 방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한반도에 대화 국면이 조성되는 상황에서 한 달 앞으로 다가온 한·중 정상회담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 '오랜 친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통해 결정적으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한반도 정세를 전향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 박 대통령 시진핑과 8년전 '각별' 한 인연

박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인연은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7월 저장성 공산당 서기 신분으로 한국을 방문했던 시 주석이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한나라당 실무진은 "외교 관례상 급이 맞지 않는다"며 만류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박 대통령이 지방 일정까지 미룬 채 적극적으로 면담을 추진해 2시간 동안 오찬을 함께했다. 특히 시 주석은 새마을운동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고, 시 주석의 요청에 따라 박 대통령이 라면상자 2개 분량의 관련 자료를 준비해 전달하기도 했다. 8년의 세월이 흘러 두 사람은 각국의 정상이 됐고, 지난 3월 통화에서 시 주석은 박 대통령을 향해 "중국 국민과 나의 오랜 친구(老朋友)"라는 표현을 썼다.

박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친분 이외에도 중국과 인연이 깊다. 1997년 정계에 입문한 뒤 공식적으로 중국을 방문한 횟수만 네 차례다. 첫 방중은 2001년 한나라당 부총재 시절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과 함께였다. 경제개발을 추진하고 있던 중국 측 인사들은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 8년전 야당 대표로 중국방문 '밥상론' 대북 전략 제시 북한핵 압박

핵을 포기할 경우의 인센티브와 핵개발을 강행할 때의 불이익을 같이 제시해 북한의 선택을 압박했습니다.

박 대통령이 본격적인 '중국통' 또는 '지화파(知華派)'로 부각된 시점은 시 주석과의 만남 두 달 전인 2005년 5월 공산당의 초청을 받아 중국을 찾았을 때다. 야당 대표로서는 이례적으로 당시 후진타오 국가주석을 만나 북핵 문제를 직접 논의했다. 북한이 핵 보유를 선언한 직후였고, 한반도 안보 환경은 현재와 유사한 면이 많았다. 당시 박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모태가 된 '밥상론'을 폈다. 밥상에 밥, 국, 반찬, 찌개 등을 다 올려놓고 식사하듯 북핵 문제도 북한이 핵 포기 시 어떤 이득이 주어지는지, 핵개발 강행 시에는 어떤 불이익이 기다리는지 제시하고 선택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때 행보가 박 대통령이 대권주자로서 '대세론'을 형성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어 2006년 17대 대통령 예비후보로서 중국을 방문했던 박 대통령은 국빈급 대접을 받았다. 다이빙궈 외교부 상무부부장 등 중국 유력 인사들을 만났고, 중국 공무원 및 석·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새마을운동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북·미 접촉을 위해 중국을 찾은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와 회동을 갖기도 했다. 가장 근래에 방중한 때는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경쟁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대통령 당선인 특사 자리를 제안하자 전격적으로 수락해 방중 길에 올랐던 일이다.

◆ 정상회담에서 어떤 대화 나눌까

박 대통령의 방중을 앞두고 현재 한중 양국은 구체적인 방중 날짜와 정상회담 의제 등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의 이번 중국 방문은 미국방문에 이어 두 번째 해외방문으로 북한이 개성공단 가동을 중단하고 단거리 유도탄을 발사하는 등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면서도 미국 등 관련국들과 대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져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 역대 정부 가운데 대통령이 일본보다 중국을 먼저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독도문제, 역사문제 등에서 우경화로 치닫고 있는 일본에 대한 경고적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북 지렛대를 갖고 있는 중국을 충분히 활용해 한반도 정세를 주도하면서 한·미·중 공조체제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구상을 드러낸 것으로 읽힌다.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 취임 후 양국 원수간 통화, 서한 및 특사 교환 등을 통해 중·한관계가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았다"며 "우리는 박 대통령의 이번 국빈방문이 중·한관계를 더욱 높은 발전의 높이로 끌어올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축” 등 북한 변화에 대한 중국의 역할 강조 예상

박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도발위협과 북핵문제, 박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등이 주요 의제로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경색국면의 남북관계에 물꼬를 트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는 것이다.

특히 양국 정상이 각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에 만나는 자리인 만큼 동북아 평화 구축을 위한 한·미·중 전략적 소통의 필요성도 회담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정상은 또 수교 21년을 맞는 양국관계의 격상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비롯한 양국 경제협력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번 방중에서 역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자신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단 만찬에서 "북한을 변화시키는 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핵이 북한을 지켜준다는 환상을 접도록 하는 데 대해 시진핑 총서기 등과 적극적으로 얘기를 나눠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존 햄리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소장 일행과의 지난 23일 접견에서 박 대통령은 "중국도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을 바라고 있다"며 "(이번 방중 때) 중국이 그런 방향에 있어서 (북한에) 긍정적인 영향을 적극적으로 미칠 수 있도록 얘기를 나눠보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로 방중한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을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거듭 강조했다.

북측은 6자회담을 비롯한 각종 대화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시 주석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다음달 7~8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6자회담 재개 문제 등 한반도 정세 안정화 방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