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靑 비서실장, 초대 국가 안보 실장 누가 임명될까?

김가희 | 기사입력 2013/01/23 [13:40]

靑 비서실장, 초대 국가 안보 실장 누가 임명될까?

김가희 | 입력 : 2013/01/23 [13:40]


사진/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청와대 두 실장 하마평이 오른 진영ㆍ유정복ㆍ유일호ㆍ권영세ㆍ김장수ㆍ윤병세ㆍ최경환씨(좌측부터)

최경환ㆍ진영ㆍ유정복ㆍ유일호ㆍ권영세 비서실장 거론…

국가안보실장에는 김장수ㆍ윤병세 유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정가는 막대한 권한을 가지는 비서실장과 국가안보실장에 ‘누가 임명되는냐?’를 놓고 하마평이 무성하다.

비서실장은 현 대통령실장에서 이름을 바꿨고, 국가안보실장은 당선인의 대선 공약에 따라 이번에 새로 생긴 자리하는 점에서 2실9수석 체제를 이끄는 쌍두마차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후 인선 과정에서 누가 이 자리에 임명될지가 주목을 끌고 있는 것.

특히 비서실장은 종전 실세라는 개념을 벗어나 대통령을 보좌하는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게 됨에 따라 위상이 약화됐다는 평이 있지만, 대통령 인사에 대한 사전 검증을 담당할 인사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게 되면서 힘이 더 커졌다는 상반된 평가도 나오는 만큼 인선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청와대 인선 친박에서 새 인물로 = 정계의 한 관계자는 “역대 청와대 비서실장에 대통령의 ‘복심’이 기용됐던 상례가 이번에도 유지될 것이다”는 전망을 내 놓았다.

따라서 이 전문가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의중을 정확히 아는 것은 물론 정무 감각을 갖춘 인사가 선택되지 않겠느냐?”는 반응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인수위 부위원장인 새누리당 진영 정책위의장과 새누리당 3선인 최경환, 의원과 지난 대선에서 직능본부장으로 큰 활동상을 보여준 유정복 의원 등이 비서실장에 이름이 오르내린다.

이 같은 이유는 최 의원과 유 의원은 박 당선인의 대선후보 비서실장을 맡았던 측근이고, 진 의원은 인수위 부위원장을 맡으며 박 당선인의 신뢰를 받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당선인 비서실장인 유일호 의원의 수평적 이동도 일부에서는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어 주목된다.

그러나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되면 의원직을 사퇴하는 게 관례였다는 점에서 최경환, 유정북, 유일호, 진영 카드가 아직까지는 변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박 당선인이 ‘원칙주의자’라는 점에서 현역 의원이 지역구민들과의 약속을 버리고 도중에 의원직을 던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현역 국회의원이 아닌 인사가 비서실장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사는 권영세 전 의원이다. 박 당선인과도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서울의 3선 출신으로 19대 총선에서 당 사무총장, 18대 대선에서 당 중앙선대위 종합상황실장을 맡아 선거 승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을 수 있다.

하지만 청와대가 이른바 ‘친박(친박근혜)’ 측근들로 채워질 경우, 개혁성이 퇴색될 거라는 여론의 지적도 나올 수 있는 만큼 예상밖 의외의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전망이다.

◇ 박 당선자 깊어지는 고민 = 이를 염두에 두고 박 당선자는 비서질장관과는 달리 국가안보실장에는 대선 기간 국민행복추진위 국방안보추진단장을 맡았던 김장수 인수위 외교국방통일 분과 간사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김 간사는 참여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지냈고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비례대표)을 지내면서 국방ㆍ안보 부문에서 폭넓은 경험을 한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와 함께 외교국방통일 분과위원인 윤병세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도 후보로 거론된다.

윤 위원은 참여정부 때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실장, 외교통상부 차관보,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지낸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로 지난 2010년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창립 전부터 박 당선인을 도왔다.내외신문

◇ 정치는 청와대가 아닌 정부부처서 = 한편 지난 21일 발표된 청와대 조직 개편안의 핵심은 ‘권한 줄이기’와 ‘군살 빼기’라고 할 수 있다. 차기 정부의 중심축이 청와대가 아닌 정부 부처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는 것.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만 해도 1실장 7수석 체제였던 청와대 조직은 현재 2실장 9수석 6기획관 1보좌관 체제로 비대해졌다.

이에 따라 인수위는 청와대 조직을 2실장 9수석 체제로 다시 단순화시켰다. 청와대 기능을 대통령 보좌에 한정함으로써 내각에 힘을 실어 주는 모양새도 갖췄다. 대통령실 명칭을 비서실로 환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또 정책실장과 기획관을 없애기로 했다. 이 중 정책실(경제수석 겸직) 폐지는 경제부총리제를 부활키로 한 상황에서 '옥상옥' 논란을 차단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부총리가 경제 분야 컨트롤 타워로서 위상을 굳힐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셈이다. 노무현 정부 때 처음 만들어진 정책실은 현 정부 출범과 함께 폐지됐다가 2009년 8월 부활했지만 또다시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3년 6개월 만에 사라지는 우여곡절을 겪게 됐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