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북경찰청, 횡단보도 보행등 신호시간 늘려 보행권 확보 추진

편집부 | 기사입력 2014/04/04 [09:39]

전북경찰청, 횡단보도 보행등 신호시간 늘려 보행권 확보 추진

편집부 | 입력 : 2014/04/04 [09:39]

 

[내외신문=정해성 기자] 전주시의 경우 횡단보도에 있는 보행등 중 약 55%(650여개)가 보행신호 시간을 최대 가능 시간보다 짧게 운용되고 있어 무단횡단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방경찰청은 교통소통에는 지장 없이 보행 신호시간을 5~50초로 확대 운용하여 시민의 불편 해소와 신호운용체계의 합리화를 추진하겠다고 4일 밝혔다.

현재 운용되는 보행시간은 최소값과 최대값의 중간 정도의 시간을 부여하는 절충형으로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왕복 7차로 편도 3차로 이상인 경우 도로 폭이 넓어 최소 25초 이상으로 최대 보행가능시간의 90%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왕복 5차로 (편도 2차로)이하의 경우 22초 이하로 짧고 최대가능시간의 40~80%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어 편도 2차로 이하 도로를 중심으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지방경찰청에서는 전주권 횡단보도 302개소를 대상으로 보행 신호시간을 표본 조사한 결과, 172개 장소(54%)가 최소 5초에서 최대 50초까지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왕복 7차로 이상인 경우 최대 15초까지 확대가 가능하고, 왕복 5차로 이하의 경우 최대 50초까지 확대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찰은 전주시 완산, 덕진경찰서의 502개 교차로에 설치된 보행등 1,209개를 대상으로 오는 4월 7일부터 현장 조사를 통해 노선별 단계적으로 보행등 신호시간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회전 차량이 많아 보행자 사고 우려가 높고 교통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교차로는 이번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이번 보행신호시간 확대는 그간 차량 연동과 소통위주의 교통정책으로 다소 소홀이 다루었던 보행권 확보 차원에서 추진하게 되었고, 추후 효과를 분석하여 5월부터는 전주권외 다른 지역도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