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손보사, 운전자보험이 손해율 상승 주범…계약자 59명에 손해율 2033.9%

- 국내 14개 손해보험사 가입 중인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1619만967명  - 70대 이상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95만3847명, 80대 이상 계약자 수 7만8125명 

하상기 기자 | 기사입력 2022/11/08 [08:34]

손보사, 운전자보험이 손해율 상승 주범…계약자 59명에 손해율 2033.9%

- 국내 14개 손해보험사 가입 중인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1619만967명  - 70대 이상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95만3847명, 80대 이상 계약자 수 7만8125명 

하상기 기자 | 입력 : 2022/11/08 [08:34]

▲ 양정숙 의원(사진제공=양정숙의원실)    

 

[내외신문/하상기 기자] 운전자보험이 손해보험사의 손해율 상승의 주범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은 금융감독원 등을 통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14개 손해보험사의 운전자보험 평균 손해율이 83.4%인데, 이 중 50대 이하 운전자보험 손해보험사 평균 손해율이 54.24%로 비교적 양호한 것에 비하여 60대 운전자보험 손해율이 64.5%, 70대 이상에서 손해율이 78.1%로 껑충 뛰었고, 80대 이상에서는 무려 263.9%에 이르고 있어 60대 이상 운전자보험 손해율이 보험사 전체 손해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특히 MG손해보험은 올해 413일 금융위원회로부터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손해보험사인데, 계약자 수 59(80대 이상 운전자보험 계약자)의 손해율이 2033.9%가 되면서 보험사 전체 손해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이고, AIG손해보험도 계약자 수 2(80대 이상 운전자보험 계약자)의 손해율이 419%로 전체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36766명으로 국내 14개 손해보험사 중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가 가장 작은 보험사임에도 불구하고 평균 손해율이 97.9%(국내 14개 손해보험사 평균 손해율 83.4%)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운전자보험 관련 통계를 구체적으로 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국내 손해보험사 중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1위 업체는 계약자 수 3846857명의 DB손해보험

국내 14개 손해보험사에 가입된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는 총 1619967명으로 확인됐다.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상위 5개 업체 현황을 보면, 1DB손해보험(계약자 수 3846857), 2위 현대해상화재보험(계약자 수 2661536), 3위 삼성화재보험(계약자 수 2456078), 4KB손해보험(계약자 수 221175), 5위 메리츠화재보험(계약자 수 1869250)이다.

 

상위 5개사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합계가 13043896명으로 전체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의 80.56%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 1위 연령대는 50대 계약자 수 합계 4471394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도 150(계약자 수 4471394), 240(계약자 수 3597619), 360(계약자 수 3238772), 430(계약자 수 2616724), 520(계약자 수 1269453), 670(계약자 수 875722), 780대 이상(계약자 수 78125), 810(계약자 수 43158)으로 확인되었다.

 

80대 이상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가 가장 많은 보험사는 DB손해보험(39379)이다.

 

운전자보험 손해율 1위 손해보험사는 MG손해보험으로 손해율이 무려 2033.9%

운전자보험 손해율이 높은 상위 5개사를 보면, 1MG손해보험(손해율 319.3%), 2위 롯데손해보험(손해율 118.1%), 3AIG손해보험(손해율 97.9%), 4위 메리츠화재보험(손해율 89.3%), 5위 현대해상화재보험(손해율 79.1%)으로 확인됐다.

 

손해보험사의 손해율이 상승하면 운전자보험 보험료 인상 요인이 된다. 실제로 주요 5개 손해보험사가 올해 상반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지만, 하반기 보험료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한다.

 

양정숙 의원은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손보사들의 운전자보험 평균 손해율은 61.2%로 나타났는데, 올해 83.4%로 증가한 것은 금융감독 당국의 운전자보험 대책에 대한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라고 짚으면서 일반적으로 보험사들이 전체 적정 손해율을 80%대로 잡는 것을 감안하면 특정 연령대에서 지나치게 손해율이 높은 점은 물론이고, 전체 평균 손해율도 83.4%로 증가한 것에 대하여 금융당국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70대 이상의 운전자보험 계약자 수가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현저히 작은 수에도 불구하고 손해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서 손해보험사의 보험료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라면서 금융당국은 70대 이상 운전자의 보험 사고율을 낮추는 방안을 관계 당국과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양 의원은 정부에 대하여 고령자의 예방정책에 대한 태도와 의견에서 나타나듯이 면허제도 강화나 면허 자진반납제도 등의 운전 통제와 관리를 위한 제재 수단의 정책보다는 고령자를 위한 교통 환경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면서 연령대별 운전자보험 손해율을 고려하여 운전자보험의 보장 특약과 관련한 특단대책이 절실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내외신문 부국장
내외신문 금감원 출입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