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해경청, 해양구조 체계 선진화를 위한 한국해양구조협회 출범

김성광 | 기사입력 2013/01/22 [22:09]

해경청, 해양구조 체계 선진화를 위한 한국해양구조협회 출범

김성광 | 입력 : 2013/01/22 [22:09]
(내외뉴스=김성광기자) 해양경찰청(청장 이강덕) 오는 23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해경청의 법정 허가 단체인 한국해양구조협회 창립식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한국해양구조협회는 개정된 수난구호법(‘12년 8월 23일 시행) 26조에 의해 설립된 단체로 우리나라의 해양구조체계 선진화를 통한 해양에서의 국민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비영리단체(사단법인)다.

해경청은 지난해 3월부터 한국해양구조협회 창립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 8차에 걸친 사전 회의와 5차례의 전국 순회설명회 등을 통해 협회 설립의 필요성을 알리는 등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지난해 12월 발기인 대회를 통해 신정택 (주)세운철강 회장(65)을 초대 총재로 선출한 한국해양구조협회는 국내 6개 조선사와 7개 해운사, 그리고 한국해운조합과 한국선주협회, 수협중앙회 등 70개 해양수산 기관 및 민간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해양구조협회는 해경청이 위치한 인천에 본회를 두고 전국 16개 시도에 지부 및 산하 지역대를 구성하고 있다.

현재 조선 세계 1위의 해운 세계 5위의 우리나라는 해양강국의 위상에 걸맞지 않게 매년 해양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줄지 않고 있다.

해경청에 따르면 경제규모의 확대와 국민의 해양레저 활동 증가로 지난 1999년 190명에 그쳤던 해양사고 인명피해는 지난해 433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선원 등 전통적 해양종사자보다 낚시, 해수욕, 레저객에 의한 사고 급증
(‘09년 190명 → ’10년 260명 → ‘11년 361명 → ’12년 433명 사망 또는 실종)

해경청은 국민의 해양안전 의식 부족과 국내 구난산업의 영세성으로 대형 해양사고 발생시 외국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번 한국해양구조협회 설립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 지난 2010년 천안함 실종자 수색 시 동원되었던 ‘98금양호’ 침몰사고 당시 마땅한 민간 수색구조 전문가가 없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바 있다. 아직도 국내 대형 해양사고 처리 대부분을 외국 구난업체가 독식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해경청이 국제기준에 맞추어 관련법(수난구호법)을 개정하고, 국내 해양구조 체계의 선진화를 위한 법정 법인(한국해양구조협회)을 설립하게 된 배경도 이 때문이다.

이에따라 오는 23일 출범하는 한국해양구조협회는 해양안전 문화를 확산시키고 구조체계를 선진화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교육?홍보, 그리고 국가정책에 대한 제안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국해양구조협회는 이날 창립식을 개최한 후 전국 지부 출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