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금융지주사들의 유명무실한 사외이사제도 실태

편집부 | 기사입력 2013/10/07 [09:09]

금융지주사들의 유명무실한 사외이사제도 실태

편집부 | 입력 : 2013/10/07 [09:09]


경영진의 감시자 역할은 커녕 거수기 역할에 불과한 사외이사들

 

[내외신문=전병길 기자] 우리?농협?산은 지주 3곳은 사외이사들의 반대표결 자체가 한 차례도 없어

 

금융감독원이 국회 송호창 의원에게 제출한 금융지주사 이사회 현황자료(2010년 ~ 현재)에 따르면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등 6대 금융지주회사가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총 665건의 이사회 안건을 의결하면서 부결건수는 단 3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산은금융지주 등 4곳은 부결건수가 단 하나도 없으며, 우리?농협?산은 지주 3곳은 사외이사들의 반대표결 자체가 단 한 차례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사외이사들이 경영진의 감시자 역할은커녕 거수기 역할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0년부터 3년간 사외이사들이 금융지주사들로부터 받은 보수 총액은 66억 7천8백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2년 기준 1인당 5천 8백4십만원의 보수를 수령한 것이다. 이는 거수기 역할을 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보수는 꼬박꼬박 챙기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송호창 의원은 “2010년 이후 6대 금융지주사 이사회 의결에서 단 3건만이 부결되고, 우리?농협?산은 지주에서는 반대표결조차 단 한건도 없었다는 것은 경영진을 감시하고 다양한 의견을 개진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정작 경영진과 한편이 되어 거수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이는 사외이사제도의 근간을 위협하는 것으로 금융지주사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사외이사 추천방식 개선 등 개선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