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현실과 향후 지원 정책 필요

심혜인 | 기사입력 2011/05/28 [16:49]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현실과 향후 지원 정책 필요

심혜인 | 입력 : 2011/05/28 [16:49]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신용호의 문구처럼 책이 우리의 삶에 주는 영향은 지식 이상의 자양분으로 오늘날 학교도서관의 위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을 해보게 된다. 특히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책은 하루라도 거를 수 없는 영양제로서 다방면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학교도서관이란 초·중·고에 설치된 도서관으로 학생들의 수업과 교원의 교수를 목적으로 하는 곳을 말한다. 요즘의 학교도서관은 단순한 인쇄자료로 정보제공의 기능만을 해오던 기존의 딱딱한 장소가 아니다. 인쇄본으로 된 책과 함께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창출을 통해 사회를 배울 수 있는 도서관 미디어 센터(LMC: Library Media Center)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턱없이 부족한 학교도서관의 예산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예산은 얼마일까  2009년 12월 통계에 따르면 2008년에는 877억원이었던 학교도서관 예산이 2009년에는 843억원으로 학교도서관 예산이 줄어들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 예산이 6,059억원이고 대학도서관 예산이 2,252억 원인 것에 비하면 그나마도 더 많이 낮아진 수치이다.

?학생 1인당 학교도서관의 예산은 11,700원으로 매년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긴 하나 평균 책 가격이 12,829원인 것을 고려해볼 때 학교도서관 1인당 예산이 평균 책 가격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이와 같이 턱없이 부족한 예산으로 효율적인 장서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연결시켜 생각해볼 수 있다.

 

학교도서관에서 사서의 필요성

?2011년 사서교사 채용인원은 0명이었다. 사서교사를 단 한명도 뽑지 않았다. 위에서 언급한 신용호의 문구처럼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통해 학교수업에서는 배울 수 없는 지식을 쌓을 수 있고 사고력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 줄 수 있는 사서교사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학생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학교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사서교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채용하지 않는 것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에서의 최상의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큰 영향

?2000년 Lance가 알래스카 주에 있는 211개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요소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첫째, 풀타임으로 일하는 사서교사가 있을 때 학생들의 성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도서관을 전담하는 인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성적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고 한다. 셋째,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협력 수업을 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학생들의 성적이 높아졌으며 넷째, 사서교사에게 이용자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성적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의 학업적인 면에서 때려야 땔 수 없는 관계에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켜 학생들에 사고능력 활성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교육비 절감 가능성

?현재 정부는 사교육비를 줄이는데 노력을 하고 있으며 사회는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요구하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해줄 수 있는 학교도서관에는 관심과 지원을 아낌없이 하지 않고 있다. 이런 사회의 태도는 오히려 사교육비를 늘리고 창의력이 아닌 주입식 교육을 지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독서는 사회 활동의 기본이다. 독서를 통해 인격을 수양할 수 있고 말하는 능력, 글쓰는 능력 등 사고력 또한 자연스레 향상될 수 있으며 논술학원을 다닐 필요 없이 자연스러운 언어력 발달로 다양한 사고의 눈을 길러주고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까지도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자신의 상상력은 어릴 적 동화책에서 시작되었다는 말을 했다. 책읽기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어릴 때부터의 독서습관을 길러주는 학생 가장 가까이에 있는 학교도서관의 전폭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학교도서관의 인식개선

?일부 학교에서는 급하게 자금이 필요한 부분이 생기게 된 경우, 학교의 총예산 중 학교도서관에 사용하려했던 예산 비율을 줄여버리고 다른 곳에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고 한다. 현재 학교도서관의 입지가 낮은데 학교도서관에 대한 지원자 및 이용자들의 인식개선이 시급하며 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높여 사서교사의 입지를 견고히 하고 개인 및 지역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서들은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로부터 필요로 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정적도서관이 아닌 동적도서관이 될 수 있도록 상호협력하는 시스템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재학 중인 심혜인이라고 합니다.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론이라는 수업을 듣던 중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사회의 많은 지원과 관심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시민과 독자들이 글을 읽고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좀 더 발전적인 학교도서관을 통해 학생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으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