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엘리트 중심 문화의 그늘....체육계와 의료계의 공통적 병폐

엘리트 중심 문화의 그늘: 체육계와 의료계의 공통적 병폐
폐쇄적 조직과 내부 고발의 벽: 침묵을 강요당하는 현실
구조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 체육계와 의료계의 미래를 위한 제언

김학영 기자 | 기사입력 2024/09/08 [09:25]

엘리트 중심 문화의 그늘....체육계와 의료계의 공통적 병폐

엘리트 중심 문화의 그늘: 체육계와 의료계의 공통적 병폐
폐쇄적 조직과 내부 고발의 벽: 침묵을 강요당하는 현실
구조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 체육계와 의료계의 미래를 위한 제언

김학영 기자 | 입력 : 2024/09/08 [09:25]

대한민국의 체육계와 의료계는 국민 건강과 복지를 책임지는 핵심 분야지만, 두 분야는 각기 다른 양상으로 고질적인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들은 역할과 구조에서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시스템적 한계와 리더십의 부재로 인해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기사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체육계와 의료계의 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개선책을 제안한다.

 

본문이미지

▲ 유투브 화면캡쳐    

 

엘리트 중심 문화와 인권 침해

 

2020년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 최숙현 선수의 자살 사건은 체육계의 엘리트 중심 문화와 인권 침해 문제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최숙현 선수는 코치와 팀 닥터, 선배 선수들로부터 지속적인 폭행과 폭언을 당했다. 그녀는 수차례 도움을 요청했으나 체육계의 폐쇄적인 구조와 은폐 문화로 인해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했고,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체육계의 권위주의와 인권 침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의료계 역시 인권 침해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2020년, 서울 아산병원의 한 전공의가 과도한 근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전공의들은 법적으로 보장된 근로 시간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수면 부족과 건강 문제를 호소했다. 하지만 병원과 상급 의사들의 압박으로 인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한 채 일해야 하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이 사건은 의료계 내부의 권위주의적이고 비인간적인 근무 환경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폐쇄적 구조와 내부 고발의 어려움

 

2018년, 쇼트트랙 국가대표 심석희 선수는 자신의 코치로부터 수년간 성폭력과 폭행을 당했다고 폭로했다. 심석희 선수는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국가대표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이를 참아왔으며,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모두 묵살당했다. 심지어 체육계 내부에서는 이를 조직적으로 은폐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 사건은 체육계에서 내부 고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체육계의 폐쇄적 구조가 피해자 보호를 방해하는 근본적 문제임을 보여준다.

 

유명한 외상외과 전문의 이국종 교수는 경기남부권역 외상센터에서의 열악한 환경과 병원의 비협조적인 태도를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병원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오히려 이 교수가 불이익을 당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의료계 내의 폐쇄적 구조와 함께, 내부 고발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사례다. 

 

체육계와 의료계의 공통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개선이 필수적이다.

 

체육계에서는 선수 보호를 위한 독립적인 감시 기구의 설립이 시급하다. 최근 최숙현 사건 이후 일부 개선 움직임이 있었지만, 여전히 선수 보호에 대한 실질적인 변화는 부족하다. 특히 엘리트 선수들만을 위한 지원이 아닌, 모든 선수들이 동등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더불어, 코치와 지도자들에 대한 윤리 교육과 인권 교육을 강화해 권위적인 문화를 없애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전공의와 간호사 등 의료진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고, 의료계 내 권위주의 문화를 타파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병원 내부 고발자에 대한 보호 조치를 강화하고, 이를 투명하게 처리할 수 있는 외부 감시 기구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국종 교수의 사례처럼, 의료 시스템 내부의 문제를 고발하는 이들이 더 이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제도적 보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체육계와 의료계는 그 특성상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폐쇄적인 조직 문화와 엘리트 중심의 구조가 문제의 핵심이다. 최숙현 사건과 이국종 교수의 문제 제기와 같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 두 분야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시스템 전반의 투명성을 높이고, 인권 보호와 상호 존중의 문화를 정착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