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미성년자 예‧적금 잔액 5조 원 돌파…100억 보유자도

유의동 의원 "금융당국, 자금 형성 과정·납세 의무 살펴야"
- 시중은행 5곳 예‧적금 계좌 7%감소에도 잔액 13%증가

하상기 기자 | 기사입력 2023/09/27 [08:05]

미성년자 예‧적금 잔액 5조 원 돌파…100억 보유자도

유의동 의원 "금융당국, 자금 형성 과정·납세 의무 살펴야"
- 시중은행 5곳 예‧적금 계좌 7%감소에도 잔액 13%증가

하상기 기자 | 입력 : 2023/09/27 [08:05]

▲ 유의동 의원(국민의힘, 경기 평택시을) 자료사진(제공=유의동의원실)

 

[내외신문/하상기 기자] 미성년자의 시중은행 예적금 보유 잔액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동 의원(국민의힘, 경기 평택시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 5곳의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280만 개에 5조 원이 넘는 금액이 맡겨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2020년부터 20237월까지 시중은행의 미성년자 보유 예적금 계좌수는 7%가량 줄어든 반면, 잔액은 13%가 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000만 원 미만의 계좌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1000만 원~5억 미만의 계좌수가 꾸준히 늘어났다.

 

해당 구간의 예적금 계좌를 자세히 살펴보면 20206552614260억에서 20237월 말 기준 8713819374억으로 계좌수는 32.98%, 잔액은 35.86%가 증가했다.

 

20237월 기준 가장 많은 예적금 잔액을 가지고 있는 미성년자는 100억 원을 맡기고 있고, 34, 257000만 원이 뒤를 이었다. 이 세 명을 포함하여 5억 이상의 예적금을 가지고 있는 미성년자는 100여 명 수준을 유지했고, 평균 보유 금액은 14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미성년자의 시중은행 예적금 보유 잔액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지적하며, “금융당국은 많은 잔액을 가지고 있는 미성년자들이 자금 형성 과정에 문제는 없는지 납세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미성년자의 예적금 잔액이 증가하는 것은 경제적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다면서도 다만, 자금 형성 과정에 부당한 수익이나 납세의무를 회피하는 행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내외신문 부국장
내외신문 금감원 출입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