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민간인 불법사찰' 검찰,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압수수색

김가희 | 기사입력 2010/07/09 [16:09]

'민간인 불법사찰' 검찰,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압수수색

김가희 | 입력 : 2010/07/09 [16:09]


9일 오후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과 관련해 정부중앙청사 창성동 별관 공직윤리지원관실을 압수수색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이 하드디스크 등 관련자료를 가지고 차량에 오르고 있다.

 

'민간인 불법사찰'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오정돈 형사1부장)이 9일 오전 10시20분께 서울 종로구 창선동 별관에 위치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에 수사관 등 2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과 점검1팀장, 조사관 2명의 사무실에서 사찰 관련 서류와 컴퓨터 서버, 전산자료 등을 압수했다. 이외에도 이 전 지원관이 작성한 공문서, 회의기록 등과 지원관실의 업무 분장과 관련된 내무 문서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한 자료를 분석해 민간인 불법사찰의 최종 보고가 어디까지 미쳤는지, 사찰 활동이 정상적인 절차를 거쳤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총리실이 "감찰 특성상 김종익씨 사찰 관련 자료가 폐기됐다"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 컴퓨터를 복원해 당시 감찰 자료 등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미 검찰은 이 전 지원관 등 4명의 통화기록과 이메일 송수신 내역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며, 압수수색 분석 과정을 고려해 이 전 지원관 등의 최종 소환 시점을 결정할 계획이다.

수사 초기 검찰은 총리실 등에 대한 직접적인 압수수색보다 정식으로 영장을 발부받아 자료를 전달받을 방침이었지만, 정확한 증거 수집을 위해 압수수색이 필요하다고 최종 판단, 사상 처음으로 총리실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국민은행 관계자 등 3~4명을 불러 막바지 참고인 조사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검찰은 전날까지 진행된 참고인 조사를 통해 '총리실-A은행', '총리실-N사', '총리실-경찰'로 이어지는 압력 행사의 큰 고리를 파악하는데 주력했으며, 이날 소환되는 인물들을 통해 '김씨를 사찰 대상으로 삼은 이유'와 '불법사찰의 목적'의 큰 그림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검찰은 과거 공무원 재직시절부터 총리실 관계자와 친분이 두터웠던 A은행 남 부행장이 김씨에게 직접 사퇴를 요구하고, N사 조모 대표도 총리실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압력을 받은 뒤 김씨를 적극적으로 압박한 정황을 포착, 혐의의 상당 부분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초 김씨를 수사했던 동작서 손모 경위 등의 조사를 통해 총리실이 어떤 방식으로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무혐의로 수사된 사건이 왜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는지에 대한 구체적 정황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날 계획대로 참고인 조사가 진행될 경우 최대한 빨리 수사자료를 정리해 이 전 지원관 등 4명을 이르면 주말 소환 조사할 방침이었지만, 이날 압수수색이 전격 실시됨에 따라 소환 시기가 다소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처럼 총리실이 하부 조직에 어떤 방식으로 압력을 가했는지에 대해 어느 정도 혐의를 파악한 검찰은 최종적으로 총리실보다 윗선인 청와대 관계자에 대한 조사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정치권에서는 선진국민연대 출신 인사들이 M호텔에서 상시 모임을 가지면서 국정을 좌지우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선진국민연대 인물 가운데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 이 전 지원관의 비선(秘線) 라인의 핵심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김씨 외 또다른 '민간인 불법사찰' 피해자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며, 김씨가 노사모(노무현 대통령을 사랑하는 모임) 핵심 인사로 분류돼 '표적 사찰'을 당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지만, 검찰은 일단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