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미국發 공포 아시아 신흥3국 외환위기 시장 혼란

편집부 | 기사입력 2013/08/22 [15:50]

미국發 공포 아시아 신흥3국 외환위기 시장 혼란

편집부 | 입력 : 2013/08/22 [15:50]


사진/미국으로 인해 아시아 신흥국들의 외한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美국채금리 급등 트리플 약세 신흥국 재정적자 확대 우려
국내는 걱정할 상황 아니지만 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시급

[내외신문=아시아타임즈發] 미국의 양적 완화 축소(채권을 사들여 시중에 돈을 푸는 규모를 줄이는 것) 이슈가 신흥국 금융시장의 혼란을 촉발해 세계 경제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 아시아 신흥 시장의 주가가 떨어지고, 환율과 금리는 치솟는 트리플 약세가 이어지고 글로벌 금융시장에선 지난 1997년 동남아 외환위기 때를 연상하게 한다는 말까지 나오며, 외환위기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세계적인 투자 전문가 짐 로저스가 “인도 경제는 절망적(hopeless)”이라고 말하자, 인도 재무부는 즉각 “우리는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처럼 아시아 신흥국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한 직접 원인은 전날 밤 미국 국채 금리의 급등이었다. 지난 19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2.88%로 마감해 2011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경제가 기침을 하면 특히 아시아권이 위축되는 것에 대해 경제 한 전문가는 “미국이 양적 완화를 축소하거나 중단하면 시중에 풀린 돈이 줄면서 금리 인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시장은 예상하기 때문이다”면서 “금리가 오르면 미국 국채 가격은 떨어지고 글로벌 투자자들은 가격이 싸진 미국 국채를 사기 위해 신흥시장의 국채를 내다 팔기에 그 결과 신흥국 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해당 국가의 통화 가치도 떨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등 선진국의 양적 완화 축소가 신흥국의 금융시장 혼란을 부추기는 것은 이런 흐름을 예상하고 투자자들이 미리 움직이기 때문이다.”고 덧 붙였다.
◇ 인도와 인도네시아 외환위기 고조 = 경제 전문가들이 외환위기 또는 금융위기 조짐이 있다고 지목되는 곳은 인도와 인도네시아다.
인도에서는 루피화 가치가 연일 사상 최저치를 갈아치우고 있고 경상수지 적자도 커졌다. 세계 경제의 전문가들은 “인도가 최악의 국면을 맞아 금융위기가 초읽기”라고 일제히 경고했다.
인도네시아도 루피아화가 4년여 만에 최저치를 찍고 경상수지 적자 폭도 커지자 19∼20일 이틀 연속 증시가 5% 이상 폭락하는 시장 위기에 부딪혔다.
그러나 문제는 인도나 인도네시아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시장의 가장 큰 우려다.
다른 아시아 신흥국 금융시장 역시 외국 자본에 의존해 몸집을 키워온 터여서 양적완화 축소와 함께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들 나라의 실물경제 기초도 약하다.
이에 대해 국내 경제 전문가들은 지난 1997년에도 태국에서 시작된 위기가 한국에까지 전파돼 외환위기 맞은 것을 상기시키며 신흥국들의 위기는 글로벌 금융시장을 흔들면서 한국에까지 닥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같은 전망에 대해 일각에서는 “현재 상황이 크게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며 위기감 조성을 경계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성장률이 낮긴 해도 최근 상승세로 전환했고, 경상수지가 18개월째 흑자를 기록하는 등 위기가 닥친 신흥국들과는 사정이 다르다.
한 경제연구소의 전문가는 “단기외채, 외환보유액 등 기초체력이 개선됐고 자본유출 변동 완화 조치 등으로 외환건전성도 나아졌기 때문에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경제 당국이 ‘유비무환’의 자세로 현재 위기설이 불거지는 원인을 철저히 따진 뒤 철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외국인 채권 만기 집중시기에 외국 자금이 이탈하지 않는지 살피는 등 외화유동성을 계속 지켜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제계의 한 인사도 “가장 심각한 경우는 한국이 외화유동성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라며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외환보유액, 외국과의 통화스와프 등을 신경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대체적인 경제 전문가들은 “신흥국을 떠나 유럽, 일본까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에 동참하면 앞으로 3,4년간 신흥국들이 유동성 위기에 놓일 수 있어 우리 경제도 장기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규기자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