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기 고] 기표용구의 비밀:내외신문
로고

[기 고] 기표용구의 비밀

편집부 | 기사입력 2018/10/24 [12:53]

[기 고] 기표용구의 비밀

편집부 | 입력 : 2018/10/24 [12:53]


소중한 한 표를 지키기 위한 노력

기표용구는 투표용지에 기표를 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1948년 5.10. 총선거부터 1980년대 초까지 선거에서는 표준화된 기표용구가 존재하지 않았다. 1952년 제2대 대통령선거부터 기표모형을 ‘○’로 정하였으나 기표용구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이 없어 붓대나 가는 대나무를 잘라 기표용구로 사용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총알 탄피의 둥근 부분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6.25 전쟁의 포연이 가시지 않아 탄피가 흔했기 때문이다. 그만큼 ‘○’모양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도구가 각지의 실정에 맞게 사용되었던 것이다.

1985년 제12대 국선부터 기표용구의 재질과 규격을 통일하여 기표용구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무효표를 줄일 수 있었으나 투표지 전사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전사’란 기표후 잉크가 덜 마른 상태에서 투표지를 반으로 접으면 반대쪽 다른 난에 잉크가 묻어나는 문제로 개표할 때 유권자가 어느 난에 기표했는지 정확히 알기 어려웠다.

투표로 표현된 소중한 유권자의 의사가 잉크가 번지는 사소한 이유로 무효로 처리되는 사태는 큰 문제였기에 1992년 제14대 대선부터는 원(○) 안에 ‘사람 인(人)’자가 들어간 기표마크를 처음 도입하였다. 그런데 인(人)자가 한글 자음 ‘ㅅ’ 같아서 특정 후보를 연상시킨다는 항의가 들어오기도 하여 불필요한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이 기표용구는 선거가 끝나고 전량 폐기되었다.

대신 1994년 통합선거법을 제정하면서 기표모형을 원 안에 ‘점 복(卜)’자가 들어간 형태( )로 변경하였다. 복(卜)자는 전사되었을 때 확실히 구분할 수 있어 유권자가 실제로 어느 쪽에 기표한 것인지 알 수 있다.

2005년 부터는 인주가 필요 없는 만년도장식 기표용구가 도입되었고 이후로도 꾸준하게 개선되어 기표 즉시 건조되는 속건성 유성잉크를 주입해 기표 후 바로 접어도 전사되지 않도록 발전하였다.

이처럼 기표용구 하나에도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를 지키기 위한 역사가 묻어있다.

투표에 반드시 참여하여 ‘나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할 것이다.

조상열 금정구선거관리위원회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