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농수산물 수입 유통구조 개선과 물가 안정과의 관계

복잡한 유통단계와 높은 유통비용의 문제점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소비자 물가 안정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한 개선 방안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6/20 [16:01]

농수산물 수입 유통구조 개선과 물가 안정과의 관계

복잡한 유통단계와 높은 유통비용의 문제점
유통구조 개혁을 통한 소비자 물가 안정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한 개선 방안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06/20 [16:01]

[내외신문=전용현 기자}한국의 농수산물 수입 유통구조는 효율적이지 않으며, 이는 소비자 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행 유통구조는 복잡하고, 유통 단계가 많아 유통비용이 높게 책정된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최종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물가 안정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문이미지

▲ 농협경제지주의 유통업체 농산물 도매공급실적이 사상 최대치를 돌파했다(사진제공=농협)  

 

한국의 농수산물 유통구조는 중간 유통업자가 다수 존재하며, 이들이 유통망을 장악하고 있다. 이는 유통 과정에서의 비용 상승과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또한, 수입 농수산물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신선도가 떨어지며, 이는 품질 저하로 이어진다. 유통비용의 증가는 소비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복잡한 유통망과 높은 유통비용은 최종 소비자가격을 상승시키며, 이는 전체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농수산물의 경우 생필품으로서 물가 상승이 소비자의 체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유통구조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유통단계를 축소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신선한 농수산물이 빠르게 소비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통 과정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 현대화된 물류 인프라는 유통 효율성을 높이고, 물류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유통과정에서의 정보 투명성을 강화하여 가격 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만들고,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유통망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가격 상승을 막고, 공정한 거래를 촉진할 수 있다. 정부는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물류 인프라 확충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은 물가 안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유통단계 축소, 물류 인프라 확충, 정보 투명성 강화, 정부의 정책 지원 등을 통해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전반적인 경제 안정에 기여할 것이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