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삼성전자, 글로벌 순위 하락... 리더십과 사업 부진이 발목

리더십의 부재, 삼성의 글로벌 영향력 약화
반도체 사업의 부진, 실적에 치명적 타격
글로벌 경쟁 심화, 삼성의 입지 위협

하상기 기자 | 기사입력 2024/06/17 [12:03]

삼성전자, 글로벌 순위 하락... 리더십과 사업 부진이 발목

리더십의 부재, 삼성의 글로벌 영향력 약화
반도체 사업의 부진, 실적에 치명적 타격
글로벌 경쟁 심화, 삼성의 입지 위협

하상기 기자 | 입력 : 2024/06/17 [12:03]

[내외신문=하상기 기자]삼성전자[005930]가 미국 유력 경제 전문지 포브스의 올해 전 세계 상장기업 순위에서 20위 밖으로 밀려나며 그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포브스가 최근 공개한 '글로벌 2000' 순위에서 삼성전자는 전년(14위)보다 7계단 하락한 21위에 그쳤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약화와 리더십의 부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포브스는 매년 전 세계 주요 기업의 매출, 순이익, 자산, 시가총액 등을 종합 평가해 2천 개 기업의 순위를 매긴다. 이번 평가에서 삼성전자는 매출 28위, 순이익 43위, 자산 122위, 시장가치 23위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사업에서만 15조 원에 육박하는 적자를 기록하며 실적이 부진했던 점이 크게 작용했다.

본문이미지

▲ 삼성전자 사옥(사진=픽사베이)    

 

삼성전자의 이번 순위 하락은 이재용 부회장의 리더십 변화와 관련이 깊다. 이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리더십과 법적 문제들이 삼성의 글로벌 영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리더십 문제는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과 실행에 있어 혼란을 초래하며, 삼성전자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반도체 사업 부진도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급감하면서 15조 원에 달하는 적자가 발생했다. 반도체는 삼성전자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로, 이 부문의 실적 부진은 기업 전체의 평가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더욱이, 삼성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주요 IT 기업들이 인공지능과 반도체 분야에서 급성장하며 삼성전자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 같은 칩 제조업체들이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삼성전자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한편, 포브스는 "시가총액 3조 달러에 달하는 칩 제조업체인 엔비디아가 100계단 이상 상승한 110위에 오르고, 데이터센터용 서버를 판매하는 새너제이의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856위로 데뷔하는 등 인공지능(AI)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인공지능과 같은 신성장 동력에서 뒤처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삼성전자의 영향력 하락은 단순히 순위 하락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와 미래 성장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다시금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리더십과 혁신적인 전략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내외신문 부국장
내외신문 금감원 출입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