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검색 순위 조작한 쿠팡에 1400억 과징금 및 검찰 고발

"공정위, 쿠팡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강력 제재"
"임직원 동원해 후기 조작, 자사 상품 상위 노출"
"21만 개 업체의 중개 상품 피해... 소비자 피해도 커져"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6/14 [07:56]

검색 순위 조작한 쿠팡에 1400억 과징금 및 검찰 고발

"공정위, 쿠팡의 불공정 행위에 대한 강력 제재"
"임직원 동원해 후기 조작, 자사 상품 상위 노출"
"21만 개 업체의 중개 상품 피해... 소비자 피해도 커져"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06/14 [07:56]

[내외신문=전용현 기자]쿠팡이 자사 상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검색 순위를 조작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구매 후기를 작성한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로부터 1400억 원의 과징금과 검찰 고발 등의 제재를 받게 됐다. 이는 유통업체에 부과한 과징금 중 가장 큰 금액이다.

공정위는 13일 공정거래법상 위계에 의한 소비자 부당유인 혐의로 쿠팡과 자회사 CPLB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400억 원을 부과한다고 밝혔다. CPLB는 쿠팡이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로, 자체브랜드(PB) 상품을 전담해 납품해왔다. 이번 조치는 공정위가 알고리즘 조작 혐의로 회사를 검찰에 고발한 첫 사례다.

본문이미지

▲ 쿠팡 홈페이지 캡쳐 

 

검색 순위 조작과 후기 작성

공정위에 따르면, 쿠팡은 2019년 2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알고리즘을 조작해 최소 6만4250개의 자사 상품을 검색 순위 상위에 고정 노출했다. 쿠팡은 자사 상품을 검색 순위 1, 2, 3위에 고정 노출하거나 기본 검색 순위 점수를 1.5배 높이는 등의 방식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쿠팡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한 21만 개 업체의 중개 상품은 검색 순위 상위에서 밀려났다. 쿠팡의 자사 상품 고객당 노출 수는 43.3%, 상품 매출액은 76.1% 증가했다.

쿠팡은 소비자에게 ‘쿠팡 랭킹’이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검색 순위인 것처럼 안내했다. 그러나 공정위는 이러한 조작이 소비자 선택권을 침해했다고 강조했다.

직원 동원 후기 작성

쿠팡은 임직원을 동원해 PB 상품에 후기를 단 사실도 드러났다. 공정위 조사 결과, 쿠팡은 2019년 2월부터 2297명의 임직원을 동원해 7342개 PB 상품에 7만2614개의 후기를 작성했다. 임직원이 작성한 후기의 평균 별점은 4.8점으로, 이는 구매 후기가 많고 별점이 높을수록 검색 순위 상위에 노출되기 유리하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

쿠팡은 구매 후기를 1일 이내 작성하도록 하고 부정적 내용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매뉴얼도 제작했다. 2021년 6월 공정위의 1차 현장조사 이전까지 쿠팡은 임직원이 작성한 후기임을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았다.

쿠팡의 이러한 행위는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간주되었으며, 공정위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부당하게 침해한 쿠팡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결정했다. 이번 과징금 부과와 검찰 고발 조치는 유통업체의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위한 경고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