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한우 과잉 공급, 경영난 가중... 대책 시급

한우 가격 지속 하락, 농가 경영난 심화
대대적인 할인 판매로 소비 촉진
중소농가 지원 및 생산비 절감

유경남 기자 | 기사입력 2024/06/11 [08:43]

한우 과잉 공급, 경영난 가중... 대책 시급

한우 가격 지속 하락, 농가 경영난 심화
대대적인 할인 판매로 소비 촉진
중소농가 지원 및 생산비 절감

유경남 기자 | 입력 : 2024/06/11 [08:43]

[내외신문=유경남 기자] 최근 한우 시장이 과잉 공급으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우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농가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중장기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우 과잉 공급은 여러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했다. 먼저, 한우 사육 마릿수가 급증했다. 2024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역대 최고치인 358만 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도축 물량도 전년 대비 8만 두 증가한 95만 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정 내 소비 증가와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이 사육 규모를 확대시킨 결과이다. 또한, 한우 가격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 한우 도매가격은 2022년 10월 이후 추세적인 하락 국면에 진입했으며, 이는 전반적인 축산물 가격 하락과 함께 한우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본문이미지

▲ 농협, 제20회 전국 한우경진대회 시상식 개최(사진제공=농협중앙회)    

 

이에 따라 한우 가격은 전년 대비 8.3% 하락했다. 정부와 농가, 생산자단체는 한우 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생산자단체와 협력하여 대대적인 한우 할인판매 행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우 소비를 촉진하고 도매가격을 안정시키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일부 대농가들을 중심으로 사육 규모를 줄이는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한우 사육 마릿수를 줄여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치가 요구된다. 정부는 한우 도매가격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농가에 대한 경영안정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소농가의 경영 부담을 덜고, 한우 산업의 기반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료 구매 자금 지원 확대 등 생산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농가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한우 과잉 공급 문제는 농가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한우 가격 하락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농가는 긴밀히 협력하여 수요 촉진, 수급 조절, 경영안정지원 등의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을 위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한우 사육 마릿수를 조절하여 한우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전남시민신문 대표
시민포털 전남 지부장
man9088@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