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한국, 'AI 강국' 도약을 위한 투자 필요성 강조...세계 9위 투자 규모

장기적인 투자와 연구 개발 지원의 중요성
산업-학계 협력 강화로 실질적 성과 도출
인재 양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필수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5/29 [07:56]

한국, 'AI 강국' 도약을 위한 투자 필요성 강조...세계 9위 투자 규모

장기적인 투자와 연구 개발 지원의 중요성
산업-학계 협력 강화로 실질적 성과 도출
인재 양성과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필수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05/29 [07:56]

[내외신문=전용현 기자] 지난 4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인간중심인공지능연구소(HAI)가 발표한 '2023 AI 지수 보고서(AI Index Report 2023)'는 전 세계 AI 생태계의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AI 분야에서 미국이 47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134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영국과 이스라엘이 순위에 올랐고, 한국은 31억 달러로 6위를 기록했습니다.

본문이미지

▲ 2022년 국가별 ai민간투자규모 한국 9위 it강국이라면서 투자규모의 아쉬움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의 AI 분야 민간 투자액을 살펴본 결과, 미국은 2,489억 달러(약 330조 원), 중국은 951억 달러(약 126조 원)로 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56억 달러(약 7조 원)로 9위에 머물렀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투자액 대비 각각 2%, 6% 수준에 불과한 수치입니다.

한국의 AI 투자는 IT 강국이라는 명성에 비해 다소 아쉬운 결과를 보여줍니다. 이는 국내 AI 산업의 체급이 상대적으로 왜소해 보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비록 국내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AI 기술을 활용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있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 AI를 활용해 경제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한 사례는 많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LG AI연구원의 배경훈 원장은 한국이 AI 분야에서 더 큰 도약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1. 장기적인 투자와 연구 개발 지원 확대 한국은 AI 연구와 개발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현재의 투자 규모로는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어렵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AI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는 이유는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 덕분입니다.

2. 산업과 학계 간 협력 강화 산업과 학계 간의 협력을 강화해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3. 인재 양성 및 인프라 구축 AI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연구와 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I 분야의 전문가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고, 이들이 국내에서 연구를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4.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글로벌 AI 생태계와 연계된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한국이 AI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기업의 전략적 투자가 필수적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보여준 성공 사례를 참고해, 한국도 AI 연구와 개발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때입니다. AI 기술은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이를 선도하는 국가가 글로벌 경제에서도 우위를 점할 것입니다. 한국이 AI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