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동남아 기후위기 세계 식량난 가져오나...중국의 댐건설도 영향 끼쳐

염분화로 인한 재배 위험 증가와 지역 농민들의 대응 전략
해수면 상승과 염분화로 인한 쌀 재배 지역의 위기
중국과 라오스의 댐 건설이 메콩강 유역에 미치는 영향
지역 경제와 식량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06/29 [13:30]

동남아 기후위기 세계 식량난 가져오나...중국의 댐건설도 영향 끼쳐

염분화로 인한 재배 위험 증가와 지역 농민들의 대응 전략
해수면 상승과 염분화로 인한 쌀 재배 지역의 위기
중국과 라오스의 댐 건설이 메콩강 유역에 미치는 영향
지역 경제와 식량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06/29 [13:30]

[내외신문=전용현 기자] 동남아시아에서 해수면 상승은 쌀 재배 지역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이 지역의 쌀은 단순히 식량원이 아닌 주요 경제 자원으로, 염분화 증가는 이 지역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베트남의 메콩 델타와 캄보디아에서는 지하수 추출, 하천 댐 건설,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내륙으로 염분이 유입된다. 이러한 염분화는 쌀 재배에 필수적인 토양의 질과 담수 자원을 악화시키며, 쌀의 생산을 저해한다.

본문이미지

▲ 이런 매콩강이 중국의 댐건설로 인해 사막화 돼 가고 있다.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 농민들은 전통적인 쌀 재배 대신 새우 양식과 같은 대안적 농업으로 전환한다. 새우는 염분을 견딜 수 있으며, 때로는 쌀보다 높은 경제적 이득을 제공한다. 베트남 정부와 비정부기구는 이러한 ‘쌀-새우’ 순환 시스템을 채택하도록 농민들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은 모든 농민에게 이득이 되지는 않는다. 새우 양식으로의 전환은 상당한 투자와 위험을 수반하며, 환경적으로도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충분한 담수 공급 없이는 건기에 새우 연못이 너무 염분화되어 결국 새우조차도 생존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 해수면 상승과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는 내염성이 강한 쌀 품종 개발, 효율적인 물 관리 기술, 그리고 국제 협력을 통한 지원 강화가 시급히 요구된다.

 

동남아시아의 쌀 생산 지역은 세계 식량 안보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의 문제 해결은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염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 정책 입안자들, 국제기구, 그리고 지역 사회가 함께 노력하여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농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남아 염분화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드는 중국의 댐건설 

 

중국 댐 건설이 특히 메콩강 유역의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대하며, 이 지역의 경제와 식량 안보에 큰 위협이 된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와 같은 국가들에서 중국과 라오스에 의해 계획 및 건설된 수많은 댐들은 강 상류에서 토사와 영양분이 하류로 흘러가는 것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메콩 델타의 쌀 재배 지역에서 필수적인 퇴적물의 유입이 감소하며, 이는 토양의 비옥도를 저하시키고 소금수의 침입을 증가시켜 쌀 생산에 큰 차질을 빚는다.

 

이러한 댐들은 강의 자연 흐름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어류 이동이 제한되며 농민들이 의존하는 토양의 영양분이 감소한다. 메콩강 유역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농업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식량 가격 상승과 사회적 불안정성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베트남의 메콩 델타 지역에서는 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많은 농민들이 소득 감소를 경험한다.

본문이미지

▲ 2020년 2월 8일에 촬영된 이 사진은 라오스 댐 건설 현장 인근 루앙프라방 인근 메콩강에 어부들이 그물을 깔고 있는 모습이다. 환경운동가들은 라오스가 이미 수력 발전 계획으로 목이 졸린 수로인 메콩 강에 또 다른 "파괴적인 댐"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사진: 에이단 존스, AFP.    

 

중국의 매콩강 개발 역사와 스토리 

 

메콩강 상류에 건설된 중국의 11개 수력발전 댐은 지난 2년 동안 막대한 양의 물을 차단해 농작물 흉작과 어획량 감소를 초래하며 하류에 거주하는 6천만 명의 생계를 위협했다. 이 댐들은 남중국해로부터의 바닷물 범람으로 인해 베트남의 메콩 삼각주와 같은 비옥한 쌀 생산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은 메콩강에서 자연적으로 퇴적되는 토사와 영양분이 절실히 필요한 곳이다.

 

중국은 라오스의 메콩강 지류에 60개의 댐 중 절반을 지원했고, 나머지 2개 댐은 메콩강 본류에 건설했다. 이 댐들은 라오스의 경제에 큰 부담을 주었고, 2019년에는 라오스의 국가 부채가 약 170억 달러로, 국가 GDP의 거의 반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2020년, 라오스 정부는 이 부채를 갚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기 배전 회사의 큰 지분을 중국 국영 전력망 회사에 넘겼다.

 

더불어, 중국은 라오스와 태국을 거쳐 메콩강을 따라 대형 화물선을 운항시키려는 계획을 추진했다. 이 계획은 강중의 대형 바위를 폭파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태국의 환경 보호론자들이 반대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는 보류되었다가 나중에 중국의 과도한 전략적, 경제적 영향력을 우려하여 취소됐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