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문화디지털 산업에 올인한다.. 7만양성..문화 디지털 전략 첫 수립…“2025년까지 1조원 투자”:내외신문
로고

문화디지털 산업에 올인한다.. 7만양성..문화 디지털 전략 첫 수립…“2025년까지 1조원 투자”

문체부, 제1차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 계획 2025 발표
융복합 인재 6만명 양성·디지털 문화자원 40만 건 개방

전용욱 기자 | 기사입력 2023/04/29 [10:35]

문화디지털 산업에 올인한다.. 7만양성..문화 디지털 전략 첫 수립…“2025년까지 1조원 투자”

문체부, 제1차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 계획 2025 발표
융복합 인재 6만명 양성·디지털 문화자원 40만 건 개방

전용욱 기자 | 입력 : 2023/04/29 [10:35]

[내외신문=전용욱 기자] 정부가 2025년까지 문화 디지털 사업과 문화기술 연구개발(R&D)에 1조 1000억 원을 투자한다.

또 3년간 디지털 융·복합 인재 6만6000명을 양성하고, 디지털 문화 자원 40만여건을 개방하는 등 K-컬처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는 크게 두가지 의미가 잇다. 첫째, 문화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문화산업 분야는 대부분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어왔지만, 최근들어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디지털 문화 콘텐츠 시장이 더욱 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과 유통 확대를 위해 투자를 강화하고, 디지털 융합 인재를 양성하여 디지털 산업 분야에 인력을 배출함으로써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투자와 정책은 문화 산업 분야의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산업은 창조적 산업으로서 매우 큰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그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문화산업 분야를 경제성장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인식하고, 향후 문화산업 분야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디지털 인재 양성과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자하여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이동·소통 제약 없는 다기능 문화해설로봇 서비스를 80대로 확대하고, 문체부 소속·공공기관 누리집 68개에 누리집의 정보를 점자파일로 제공하는 점자 서비스도 선제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8일 전병극 제1차관 주재로 ‘문화디지털신대륙협의회’를 열고 ‘제1차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 2025(2023~2025)’를 확정 발표했다.

 

문체부 최초의 디지털 전략인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은 정부의 디지털 전략계획을 뒷받침하고, K-컬처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를위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K-컬처 산업 ▲새로운 경험을 향유하는 디지털 K-컬처 ▲새로운 행정을 구현하는 조직문화 등 3대 추진전략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9대 중점과제를 정했다.

 

▲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 사진뉴스 화면 갈무리  ©



문체부는 이번 1차 기본계획을 위해 현재 5400억 원인 디지털 및 문화기술 연구개발 예산을 2025년까지 1조 10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수립했다.

 

3년 동안 디지털 융·복합 인재 6만 6000 명을 양성·발굴하고, 문화·관광·스포츠 분야 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사업영역을 발굴할 수 있게 지원한다.

 

실감형, 메타버스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한 웹툰, 드라마, 전래동화 등 디지털 원천자원과 AI 활용에 필요한 한국어 말뭉치 130여 종(10억 어절) 등 디지털 문화자원 40만여 건을 개방한다.

 

문화기술 연구개발(R&D) 예산도 현재 1300억 원에서 2025년까지 4600억 원으로 확대한다.

또 도심 속에서 실감형 미디어아트를 체험하는 K-컬처스퀘어, 박물관 VR 수장고 체험 등 문화시설을 활용한 융·복합 실감 체험 서비스를 확대한다.

 

문화시설 내 탑승형 문화해설 로봇을 현재 23대에서 80대로 늘리고, 로봇이 제공하는 수어 및 다국어 콘텐츠도 22만 건에서 50만 건으로 확대한다.

 

문체부 소속·공공기관 누리집 68개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누리집의 정보를 점자파일로 제공하는 점자 서비스도 선제적으로 도입할 꼐획이다.

 

축제, 공연 등 국민 여가생활에 필요한 정보는 한곳에 모아 디지털 서비스로 개방한다.

 

문체부는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조직문화도 새롭게 바꿔 나간다.

 

챗GPT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효율적 업무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디지털 혁신 사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 협의체를 운영하고 직원의 디지털 혁신역량을 강화한다.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한 콘텐츠 확산, 대체불가토큰(NFT) 기반 거래 확대, AI 학습 등 기술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저작권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 고도화 등 사이버 안전을 강화한다.

 

직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디지털 의무교육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보도자료, 회의록 작성 지원 등 초거대 AI 기술을 내부 행정업무에 활용한다.

 

‘문화디지털신대륙협의회’와 더불어 문체부 산하 정보화 전담기관인 한국문화정보원을 ‘문화 디지털혁신 통합지원센터’로 지정해 문체부 본부와 소속·공공기관의 디지털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반 국민의 디지털 문화 향유 경험이 75.5%에서 85%로 확대되고, 기존의 문화 향유 경험 유형이 전통적인 시청각 관람 중심에서 메타버스 기반 양방향 가상 체험과 오감형 실감 체험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병극 차관은 “이번 기본계획은 디지털 신기술을 문화 분야의 창작과 향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문체부의 첫 디지털 전략”이라고 밝히고 “디지털 기술이 K-컬처가 한 단계 더 발전해 세계로 확산하는 디딤돌이 되고, 취약계층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약자 프렌들리 정책의 비장의 무기가 될 수 있도록 짜임새 있게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 좋아요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시민포털지원센터 이사
월간 기후변화 기자
내외신문 전북 본부장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