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국정원 뎃글관련 청문회 시작도하기전 파행 막말논란...

윤의일 | 기사입력 2013/08/19 [20:20]

국정원 뎃글관련 청문회 시작도하기전 파행 막말논란...

윤의일 | 입력 : 2013/08/19 [20:20]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에게 집중질의..

 

(국회=윤의일기자)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는 국정원 국정조사 2차 청문회에서 경찰의 '국정원 댓글 수사' 축소·은폐 의혹과 관련해 부당한 압력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와 치열한 공방이 벌였다.

하지만 민주당의 요구와 새누리당의 합의내용 가지고 청문회를 시작한지 1시간 20분이 지나도록 청문회는 열리지 못하고 뜨거운 논쟁만 하다. 민주당 소속 신기남 위원장의 정회로 파행을 가져왔다.


?민주당 국조특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청문회에서 첫 의사진행발언자로 나서면서 “새누리당은 제가 김 의원과 권 대사의 증인 요청을 한 적이 없고 ‘협상용 카드’였다라고 했다는 말을 연이어서 내뱉었다’ 면서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 수석부대표의 공개 해명과 사과를 요구했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이제는 김무성, 권영세에 대해 오전 중 증인채택에 합의해야 한다. 적어도 오늘 오전 증인채택 합의가 안 되면 국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또한 민주당 신경민 의원과 박선영의원은 지금 하고 있는 것이 국정원 청문회냐면서 국정원에 나가지도 않는 증인이 가림막 안에서 내통을 할 수도 있는데 가림막안에 있을 이유가 없다면서 청문회 일반 증인석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새누리당 국조특위 간사인 권성동 의원이 협상용 카드라고 말한 건 여러가지 근거가 있지만 협상과정을 자세히 밝히면 제 협상 파트너인 정 의원이 곤란한 지경에 처할 우려가 있어 더 이상 언급하지 않겠다. 고 말하자 정 의원 그럼 애기해봐라 왜 애기를 못하냐며 따졌다.

또한 새누리당 김태흠 의원은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지 말고 법 태두리 안에서 애기하라며 여야 의원들은 “막말하지 마라”, “말조심 하라”, “퇴장시켜라”, “가는 귀 먹었냐  “선천적으로 구제불능이구만” 강한 불쾌감을 보였고 관람석에 있는 민주당 의원들에게 말을 가려서 하라며 따지기도 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의원들의 오가는 대화는 오히려 취재하는 기자들에게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이날 국정원 2차 청문회는 증인들이 1명이 빠진 전원이 참석했지만 질의응답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회를 선언했다. 오후에 어렵게 시작한 국정청문회에서는 국정원 댓글 수사와 관련해 담당자였던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서울경찰청이 댓글 수사 키워드를 줄여달라며 여러 차례 강압적으로 요청했다고 진술했다.

또, 김용판 당시 서울경찰청장이 자신에게 전화해 수사를 축소하도록 압력을 넣었고 국정원 여직원 오피스텔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도 신청하지 못하게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14일 청문회에서 김용판 전 서울청장이 "격려전화를 했고", "영장 신청에 찬성했다"고 한 진술은 거짓이라고 증언했다.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김용판 전 서울청장이 전화를 직접 했다며 통화를 해서는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지 말 것을 지시를 했고, 그 근거로는 내사 사건인데 압수수색을 하는 것이 맞지 않다라는 것과 경찰이 신청했는데 검찰에서 기각하면 이거 어떻게 하냐……."며 말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박영선의원은 "지금 말씀하신 내용을 제가 질의를 드렸더니 김용판 청장이 부인했습니다. 그러면 거짓말 한 것 아닙니까?"라고 질문을 하자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은 짧은 말로 "네. 거짓말입니다 라고 말했다."

권은희 전 수사과장은 또, 국정원의 대선 개입 여부와는 별도로 경찰이 대선 전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한 것은 대선에 영향을 주려던 것으로 생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권 전 수사과장의 말을 반박하는 증언도 나왔다. 서울경찰청 디지털범죄 수사팀장은 국정원 댓글은 키워드로 검색하는 것 자체가 별 의미가 없어 ID나 닉네임으로 검색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피력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권 전 과장의 발언을 들은 후 권 전과장 이하는 말은 매우 정치적으로 보인다면서, 자신과 생각이 다르면 거짓이냐고 비난했고 조명철 의원 역시 권 전 과장이 현재 지휘하고 있는 경찰들마저도 동의하지 않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몰아붙였다.

제 2차 국정원 뎃글관련 청문회는 앞으로 많은 과제를 남기게 될 것으로 보인다. 누구의 말이 진실인가는 상반된 증언과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갈증이 고조되고 있는 분위기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