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안전행정부 유정복 장관, 국가기록원·정부통합전산센터 방문

윤의일 | 기사입력 2013/04/13 [00:20]

안전행정부 유정복 장관, 국가기록원·정부통합전산센터 방문

윤의일 | 입력 : 2013/04/13 [00:20]


“국가기록관리·사이버안전에 최선 다해달라” (내외뉴스=윤의일기자)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4월 12일(금) 국가기록원, 정부대전청사, 정부통합전산센터를 잇따라 방문해 기록물 관리 상황과 사이버 위협 대응태세 등을 점검했다.

우선, 국가기록원을 방문한 유정복 장관은 국가기록 관리에 대한 보고를 듣는 자리에서 “국가기록 관리는 투명한 정부 구현을 위한 핵심 업무인 만큼 모든 공공기록의 체계적이고 철저한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유정복 장관은 제94돌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일(4.13)을 맞아 관련 기록물을 직접 살폈다.

국가기록원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해 일제강점기 판결문 원본과 영국 정보국 극비 문서, 중국 당안관(중국 국가기록원) 관련 문서, 임시정부 법정기념일 제정 관련 문서 등을 보존·관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4년 도산 안창호, 이동휘 선생 등 임정관련 요인들의 독립운동 판결문 원본에는 임시정부 수립 배경 등이 기록되어 있다.

영국 국가기록관리청에서 수집한 영국 정보국(SIS, Secret Intelligence Service) 첩보문서에는 임정 설립배경과 요인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 당안관 기록은 해방 직후 중국 내 한인 동포들의 안전한 귀환을 위해 당시 임시정부 대표 백범 김구 선생이 중국 당국과 합의한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들 기록물을 살펴본 유정복 장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94돌을 맞아, 관련 기록물을 보면서 독립운동을 위한 선조들의 희생과 노력을 엿볼 수 있어 의미 있었다.”며,

또한 “국가기록은 역사와 미래세대를 위한 중요한 자산인 만큼 안전한 기록관리가 대단히 중요하고, 국민들이 국가기록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민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후, 유정복 장관은 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통합센터)를 방문해 전자정부시스템의 위기대응 체계를 긴급 점검했다.

유 장관은 통합센터 관계자로부터 사이버위협 대응현황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모의해킹 시연을 참관하고 주요시설을 현장 점검했다.

사이버 위협과 장애를 모니터링하고 총괄 대응하는 종합상황실을 찾은 유 장관은 “최근 2개월여 간 80여명의 직원들이 비상근무 상태라는 얘기를 들었다. 얼마나 노고들이 많으시냐?”며 “힘든 상황이지만 전자정부의 사이버 전선에서는 한 치의 허점도 보이지 않도록 직원들이 더욱 분발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유 장관은 사이버 안전과 함께 ‘정부3.0’ 구현을 위한 클라우드센터 전환과 정부데이터의 개방·공유 환경 마련에도 통합센터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

유 장관의 통합센터 방문은, 언론사·금융권에서 발생한 3.20 사이버 대란 및 남북 간 긴장고조 등과 관련해 정부 부문의 사이버 위협 대응태세와 국가기반시설 보호대책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