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천시의회 신영희 의원, 사회적기업 제품 접근성 개선 촉구…“지역경제 선순환 시급”

- 신영희 인천시의원 5분 발언…“어디서 살지 몰라” 현장 목소리 반영
- 공공기관 낮은 구매율·외곽지역 소외 등 구조적 한계…6대 정책 방향 제안

하상기 기자 | 기사입력 2025/06/05 [14:09]

인천시의회 신영희 의원, 사회적기업 제품 접근성 개선 촉구…“지역경제 선순환 시급”

- 신영희 인천시의원 5분 발언…“어디서 살지 몰라” 현장 목소리 반영
- 공공기관 낮은 구매율·외곽지역 소외 등 구조적 한계…6대 정책 방향 제안

하상기 기자 | 입력 : 2025/06/05 [14:09]

▲ 신영희 의원 의정활동 모습(사진제공=인천시의회)

 

[내외신문/하상기 기자] 인천 지역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을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로 인해 지역 경제의 선순환 효과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광역시의회 신영희 의원(국민의힘·옹진군)5일 열린 302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사회적기업 제품의 지역 내 소비 확대와 선순환 생태계 조성의 절실함을 강조했다.

 

신영희 의원은 현장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이 좋은 것은 알지만 어디서 살 수 있는지 모르겠다는 목소리가 많다고 운을 떼며, “도심과 도서·외곽지역 간 기업 수와 기회 격차, 공공기관의 낮은 구매율, 유통 플랫폼 접근성 부족 등 구조적 한계가 인천 사회적경제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다.

 

실제로 2024년 인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내 사회적경제기업은 2016532개에서 올해 1211개로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옹진군(44), 강화군(79) 등 외곽·도서지역은 여전히 소외된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율 또한 6.58%로 전국 평균(8.9%)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신 의원은 서울과 경기 등은 사회적경제 제품 구매 목표제, 민간 쇼핑몰 연계, 임팩트 펀드 등 다양한 정책을 이미 도입해 실적을 내고 있다인천 역시 보다 적극적이고 구조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신 의원은 인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 여섯 가지 정책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첫째, 유통 구조 혁신이다. 신 의원은 분산된 유통 플랫폼을 인천형 통합브랜드로 일원화하고, 민간 온라인몰과의 연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둘째, 지역 기부 플랫폼 진입 장벽 완화를 주문했다. 사회적기업 상품이 고향사랑기부제 등 각종 플랫폼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행정 절차를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셋째, 공공 및 민간 소비 확대를 역설했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 기업, 학교, 병원 등에서도 사회적기업 제품 소비가 확산될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CSR) 연계, 인센티브 등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시민 참여형 가치소비 확산이다. 신 의원은 시민들이 사회적기업 제품을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i-가치나눔사업을 고도화하고, 시민 참여형 가치소비 캠페인, 청년 마케터 육성, 사회적기업 체험 꾸러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다섯째, 지역 간 격차 해소 맞춤 지원을 강조했다. 도서와 외곽지역에는 중간 지원 조직을 둬 출장 컨설팅, 맞춤형 교육, 판로 지원 등 현장 밀착형 지원을 강화하여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조성이다. 민간 중심의 금융 및 세제 지원 확대와 사회적경제특구지정 등 실질적인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영희 의원은 사회적기업 제품 소비는 단순한 구매가 아니라 지역의 일자리와 공동체, 그리고 미래에 투자하는 일이라며 인천에 사회적경제 선순환 생태계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시와 시민 모두의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내외신문 부국장
내외신문 금감원 출입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