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6년간 무허가 온천수 사용 묵인 논란- 유니아일랜드CC, 온천원보호지구 외 온천수 불법 사용 의혹
|
![]() ▲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전경(사진제공=강화군) |
강화군에서 유니아일랜드CC가 약 6년간 무허가로 온천수를 끌어다 영업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거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이 기간에 강화군청과 일부 언론까지 이에 편승해 홍보를 해왔다는 점에서 '관피아(공기관 마피아) 카르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인천시출입연합기자단 공동취재에 따르면, 강화군 관계자는 "영업을 안 하고 있어 당장 처벌은 곤란하다"는 납득하기 어려운 답변을 내놓았다. 이는 과거 불법 영업 사실을 묵인해 온 강화군의 행정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다수의 군민은 이미 덮어두었던 문제가 터진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수사기관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사안과 관련하여 산·관 유착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그동안 골프장 노천탕 영업이 지속되어 왔음에도 강화군이 제대로 된 현장 감시 없이 '모르쇠 행정'으로 일관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일각에서는 강화군청의 명백한 직무유기이며, 힘 있는 누군가의 영향력이 작용하지 않고서는 6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불법 영업이 가능했을 리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강화군은 '관피아 집단'이라는 오명과 더불어 '경관 유착'이라는 합리적인 의심까지 받으며 군민들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석모도 유니아일랜드CC 클럽하우스 내 노천탕은 개장 이후 약 6년간 해수온천탕으로 둔갑해 불법 운영됐다. 인천시출입연합기자단의 공동취재가 시작되자 골프장 측은 그제야 노천탕 영업을 잠정 중단했다. 이는 스스로 불법 사실을 자백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 ▲ 유니아일랜드CC 입구 전경 |
유니아일랜드CC 골프장은 2019년 3월 옛 염전을 활용해 조성되었으며, 갯벌, 습지 등 자연환경을 강조하며 개장 당시부터 강화군과 일부 언론의 적극적인 홍보를 받아왔다. 복수의 언론은 "유니아일랜드CC 골프장 해수 온천욕, 이런 곳이 있었네" 등 홍보성 기사를 쏟아냈으나, 강화군청은 불법 온천수 사용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시민들의 불만을 초래했다.
온천원보호지구 외의 온천수 사용은 명백한 불법이다. 다수의 언론 보도에서 확인되듯, 유니아일랜드CC는 올해 4월까지도 고객들에게 온천욕을 제공해 왔다.
강화군 관계자의 안일한 해명과 함께 관리 감독 기관의 탁상행정 역시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법치국가에서 불법 행위를 관리 감독하고 처벌해야 할 기관이 책임을 회피했다는 점에서 '관피아'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이다.
강화군은 그동안 해당 업체의 이익에 편승하여 '클럽하우스 내 노천온천탕에서 천연 해수 온천수를 경험할 수 있다'는 허위 홍보에 대해 진실 여부조차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강화군민들은 작년 10월 보궐선거로 당선된 박용철 군수에게 관내 불법 행위 척결에 대한 기대를 걸었으나, 현재까지 뚜렷한 해결 움직임이 보이지 않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군수가 불법 사실을 몰랐다면 무능한 것이고, 알았다면 더 큰 문제"라며 박 군수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온천법'에 따르면 온천원보호지구 외 지역에서의 온천수 사용은 불법이며, 온천수로 표기하는 것조차 금지되어 있다. 강화군이 그동안 눈감아 온 불법 행위는 행정의 명백한 실패라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군민들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유니아일랜드CC는 온천원보호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곳이다. 군민들은 박용철 군수가 의원 시절 이 문제에 대해 단 한마디 지적이라도 했는지 궁금해하며, 이제라도 불법 척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강화군민 A씨는 "현직 군수 재임 기간에 벌어진 일이기에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며 "지역 내 불법 척결은 군수의 당연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또한, 관련 공무원들의 인사 및 근무평가 불이익도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불법을 방관하는 공기관 조직은 조폭보다 더 나쁜 조직이며, 인천시의 철저한 감사가 필요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강화군 관계자는 취재진에게 "현재 영업을 하지 않아 처벌할 수 없다"는 모호한 답변으로 일관하고 있어, 향후 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