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악마같은 아이디어'로 시장을 재편하다

-혁신적 발상...생수를 맥주처럼 즐기다
리퀴드 데스는 맥주 캔을 연상시키는 디자인과 강렬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생수 시장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며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친환경 철학과 지속 가능한 성장
알루미늄 캔과 ESG 경영을 통해 친환경 가치를 실현한 리퀴드 데스는 소비자와의 공감을 바탕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였다.

-문화와 소비를 연결하는 마케팅 전략
헤비메탈과 스트레이트 엣지 문화를 결합한 독창적 마케팅으로 리퀴드 데스

전용현 기자 | 기사입력 2024/12/12 [07:32]

악마같은 아이디어'로 시장을 재편하다

-혁신적 발상...생수를 맥주처럼 즐기다
리퀴드 데스는 맥주 캔을 연상시키는 디자인과 강렬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생수 시장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며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친환경 철학과 지속 가능한 성장
알루미늄 캔과 ESG 경영을 통해 친환경 가치를 실현한 리퀴드 데스는 소비자와의 공감을 바탕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였다.

-문화와 소비를 연결하는 마케팅 전략
헤비메탈과 스트레이트 엣지 문화를 결합한 독창적 마케팅으로 리퀴드 데스

전용현 기자 | 입력 : 2024/12/12 [07:32]

리퀴드 데스는 생수 시장에서 보기 드문 파격적인 행보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브랜드다. '악마같은 아이디어'라는 수식어가 어울리는 이 브랜드는 기존의 생수 브랜드가 가지지 못한 독특한 아이덴티티와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리퀴드 데스는 단순히 물을 캔에 담아 파는 제품이 아니다. 브랜드 이름에서 느껴지는 강렬함처럼, 이들은 시장의 고정관념을 깨부수고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하는 혁신적인 전략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리퀴드 데스는 첫 등장부터 기존 생수 시장에서 보기 드문 강렬한 이미지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마치 맥주나 보드카처럼 보이는 이 캔에는 실제로 물이 담겨 있다. 제품의 평균 가격은 약 1,500원에서 2,000원 사이로, 일반 생수에 비하면 상당히 고가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는 소비자들이 리퀴드 데스를 단순히 물로만 인식하지 않게 만드는 요소다. 브랜드는 독특한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슈퍼볼 광고와 같은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을 활용했다. 특히 아이들과 임산부가 취한 듯한 모습을 연출하며 물을 마시는 광고는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도 대중의 이목을 끌었다. 이처럼 파격적인 접근법은 단순히 제품 홍보를 넘어 리퀴드 데스를 하나의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잡게 했다.

본문이미지

 

리퀴드 데스의 성공 뒤에는 창업자 마이크 세사리오의 창의적인 발상이 자리 잡고 있다. 그는 헤비메탈 밴드들이 물병 대신 맥주캔에 물을 담아 마시는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이는 기존의 생수 브랜드가 전달하지 못했던 쿨함과 개성을 제품에 담아내는 계기가 되었다.

 

밴드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강렬한 디자인과 이름은 단순히 물을 파는 것을 넘어 하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게 했다. 특히 스트레이트 엣지 문화를 지향하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추구자들을 주요 타겟층으로 설정한 점은 기존 생수 시장에서 찾아보기 힘든 차별화된 접근법이다. 스트레이트 엣지는 술과 담배를 삼가는 문화를 뜻하며, 리퀴드 데스는 이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기존의 생수 이미지와는 상반되는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리퀴드 데스의 또 다른 강점은 친환경적 가치를 내세운 점이다. 브랜드는 플라스틱 대신 알루미늄 캔을 포장재로 선택했다. 알루미늄은 플라스틱에 비해 재활용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아, 지속 가능한 제품으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한다. 또한, 매출의 10%를 환경 보호 단체에 기부하는 ESG 경영을 실천하며 소비자들에게 더 큰 신뢰를 얻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제품의 친환경성을 넘어 브랜드의 철학을 소비자와 공유하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파타고니아 창립자에게서 영감을 받은 사업 철학은 리퀴드 데스가 일관된 메시지를 유지하며 마케팅에서도 독창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고객들의 부정적인 의견조차도 마케팅 자료로 활용하며 스포티파이에 음원을 출시하는 등 유연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식은 리퀴드 데스의 마케팅을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리퀴드 데스는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강력한 팬덤을 형성하며 유통 채널을 확장해 나갔다. 브랜드는 초기에는 온라인 판매를 중심으로 시작했지만, 타투샵, 맥주 펍 등 브랜드 이미지에 부합하는 장소로 판매처를 넓혔다. 이후 월마트, 아마존, 세븐일레븐과 같은 주요 유통업체까지 진출하며 대중적인 입지를 다졌다.

 

또한, 미국 최대 규모의 공연회사 라이브네이션의 공식 생수로 선정되며 라이브네이션 공연에서 아티스트들이 리퀴드 데스를 마시는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음료 브랜드를 넘어 공연과 음악 문화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잡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리퀴드 데스의 성공은 창업자 마이크 세사리오가 꿈꿨던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빛을 발했다. 그는 다양한 공연에서 아티스트와 팬들이 건강하게 생수를 즐길 수 있는 문화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리퀴드 데스는 설립 4년 만에 기업가치가 7,000억 원을 넘어서는 놀라운 성장을 이뤘다.

 

매출은 첫해 40억 원에서 2021년 기준 600억 원으로 급격히 증가하며 브랜드의 시장성을 입증했다. 신선한 컨셉과 친환경적 슬로건, 파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리퀴드 데스는 현재 가장 힙한 생수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다.

 

 

리퀴드 데스의 성공은 단순히 독특한 제품을 넘어, 소비자와의 깊은 공감과 가치를 공유하는 데 성공한 사례다. 이는 생수라는 평범한 제품조차도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강렬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시민포털 지원센터 대표
내외신문 광주전남 본부장
월간 기후변화 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