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보험사 CEO 살인사건 뒤에 보험금 지급거부가 있었다.보험금 거부율 32%의 현실, 고객 분노 폭발
|
이는 단순한 경제적 문제를 넘어선 생명권에 대한 위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전 승인 제도는 치료나 수술을 받기 전에 보험사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자는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치료 직전 보험금이 거부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며, 이는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미국의 의료비 지출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GDP의 18%를 의료비에 사용하고 있으며, 1인당 연간 의료비 지출은 약 12,000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기대수명은 선진국 중 최하위권이며, 높은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같은 모순은 미국 의료보험 제도의 근본적 문제를 보여준다.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은 낮고, 비용은 지나치게 높다.
한국의 경우 의료비 지출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비교는 미국의 의료 시스템이 개선되어야 할 점을 시사한다. 미국의 민간 의료보험은 직장 기반으로 운영되며, 직장을 잃으면 보험도 함께 상실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공적 의료보험은 고령자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가 있지만, 모든 국민을 포괄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국민 대다수가 적절한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게 만들며, 의료비로 인해 파산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다. 반면, 공적 의료보험 도입을 시도한 정치적 움직임은 강한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민주당은 공적 보험 확대를 지지하지만, 공화당은 개인 책임론을 내세워 이를 저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미국 내 의료보험 개혁은 정체 상태에 머물고 있다. 오바마케어는 보험 가입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대규모 의료 제도 개혁이지만, 여전히 3천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보험에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버니 샌더스가 제안한 '모두를 위한 메디케어'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보험 모델로 주목받았으나, 높은 세금 부담 등을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다. 반면, 공화당은 오바마케어의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의료보험 개혁에 대한 저항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미국의 보험사들이 기존의 운영 방식을 유지하려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험사 경영진에 대한 비판은 높은 연봉과 낮은 보험금 지급률에서 기인한다. 고객들은 보험사의 재정적 이익이 환자의 생명을 우선시하지 않는다고 느끼며, CEO와 같은 고위 경영진에 대한 불만을 쏟아낸다. 이번 사건 이후, 일부 보험사들은 경영진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해 가짜 CEO를 내세우거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비밀주의는 고객들의 불신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결국,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CEO의 죽음은 미국 의료보험 제도의 심각한 문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남을 것이다. 높은 보험금 거부율, 비싼 의료비, 그리고 공적 보험의 부재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명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의료보험 시스템의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