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장애인활동지원사 실습생, 퀴어축제 강제 참여 논란

전태수 기자 | 기사입력 2024/11/30 [10:18]

장애인활동지원사 실습생, 퀴어축제 강제 참여 논란

전태수 기자 | 입력 : 2024/11/30 [10:18]

장애인활동지원사 실습에 참여한 대학생이 사전 고지 없이 퀴어축제 현장에 배치돼 성소수자 집회에 강제로 동원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습생 A씨는 초상권과 인권이 침해됐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A씨는 지난 11월 2일 장애인활동지원사 자격증 실습을 위해 지정된 장소에 도착했으나, 그곳이 퀴어축제가 열리는 거리임을 알고 당황했다. 현장에서 A씨는 성소수자 지지 스티커와 무지개 부채를 제공받았으며, 드랙퀸 공연과 행진에도 참여를 요구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장애인을 돕는 실습이라 생각했는데, 성소수자 축제에 동원된 격이었다. 사전에 전혀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분노를 표했다.

 

A씨는 실습 도중 촬영된 사진이 유포될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으로 실습 이후에도 트라우마를 호소했다. 그는 “성소수자 집회에 동원된 것처럼 보이는 사진이 퍼질까 두렵다”며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실습을 주관한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여러차례 내용을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전화를 했지만 받지 않았다. 

 

A씨는 센터의 태도에 실망감을 나타냈다는 제보다. 실습 종료 후 민원을 제기했으나 “실습을 완료하지 않았다”는 답변만 돌아왔다며, “문제를 제기해도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에 크게 실망했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장애인활동지원사 실습 관리의 허점을 드러내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습생의 권리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명확한 사전 안내와 동의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A씨는 “미숙한 시스템 때문에 피해를 입었다”며 “장애인 활동 지원 실습 본래 취지에 맞는 환경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관계 당국은 해당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고, 실습생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 기사 좋아요
기자 사진
월간기후변화 발행인
내외신문 대표 기자
금융감독원, 공수처 출입기자
사단법인 환경과미래연구소 이사장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