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 실효성 논란 ‘청년배당’부터 ‘청년희망펀드’까지, 근본적 해결책은 무엇인가②실효성 논란에 휩싸인 청년정책: 청년배당과 희망펀드의 한계
|
청년들이 처한 현실: 스펙 경쟁, 취업난, 그리고 N포세대의 등장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는 단순히 경제적 어려움에 그치지 않는다. 치열한 스펙 경쟁, 끝이 보이지 않는 취업난,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결혼, 출산, 내 집 마련 등을 포기하게 되는 ‘N포세대’의 등장은 청년들의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든다. 청년들은 끊임없이 더 나은 스펙을 쌓기 위해 교육과 훈련에 매진하지만, 정작 취업의 문턱은 높기만 하다. 높은 실업률과 비정규직의 증가, 그리고 자립이 어려운 주거 환경 등은 청년들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앗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정책들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하다. 청년들은 더 이상 단순한 금전적 지원이나 단기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 자신들의 미래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원하고 있다.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청년정책, 근본적 해결책은 무엇인가
지방정부와 중앙정부는 각각의 특성과 상황에 맞춰 청년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들이 청년들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중앙정부의 정책은 대체로 전국적인 차원에서의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지만, 이는 지역별로 상이한 청년들의 문제를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지방정부의 정책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제시할 수 있지만, 예산 부족과 중앙정부와의 협력 부족으로 인해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무엇일까? 우선, 청년정책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청년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책이 단순히 행정적, 정치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청년들의 실제 요구와 현실을 깊이 이해한 바탕에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청년정책은 단기적인 지원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경제구조 개선, 일자리 창출, 주거 안정 등을 목표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긴밀한 협력과 함께, 지속 가능한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청년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단순한 시혜적 지원을 넘어서, 청년들이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하고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청년들이 ‘N포세대’가 아닌, 미래를 꿈꾸고 실현할 수 있는 ‘희망세대’가 되도록, 정책 입안자들의 진지한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