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 군․구의원 등 129명 재산공개

- 평균 8억7천만 원 재산 보유, 지난해 대비 평균 2천3백만원 증가
-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시장, 군수·구청장, 시의원 등 재산공개

하상기 기자 | 기사입력 2023/03/30 [08:24]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 군․구의원 등 129명 재산공개

- 평균 8억7천만 원 재산 보유, 지난해 대비 평균 2천3백만원 증가
-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시장, 군수·구청장, 시의원 등 재산공개

하상기 기자 | 입력 : 2023/03/30 [08:24]

▲ 인천광역시 CI(제공=인천시청)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관할 재산 공개대상자 129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330일 인천광역시보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 재산 공개대상자는 인천시 산하 공직유관단체장 6, ·구의원 123명 등 총 129명이다.

 

인천시 공직유관단체장, ·구의원의 재산공개내역은 인천시 누리집의 인천광역시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 및 재산변동 요인을 살펴보면, 신고재산 평균은 87천만 원으로 종전에 신고한 재산평균에 비해 약23백만원이 증가했다. 재산공개대상자 중 63.6%82명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증가했고, 36.4%47명은 재산이 감소했다.

 

재산변동 요인으로는 토지 개별공시지가 및 주택 공시가격 상승, 저축 등에 따른 가액변동으로 재산이 증가했고, 생활비 등 지출증가, 금융채무 발생 등으로 재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말까지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등록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중대한 과실로 재산을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이번 재산변동사항 공개와 관련해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재산등록 및 심사제도를 엄정하게 운영해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증식을 방지하겠다고 밝히면서, “시민들로부터 신뢰받는 청렴한 인천을 만들기 위해 등록한 재산사항에 대해서는 재산 취득경위와 자금 출처 및 사용처 등 재산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산등록의무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매년 11일부터 12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며, 인천시공직자윤리위원회는 재산 공개대상자의 신고내역을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하고 있다.

이 기사 좋아요
내외신문 부국장
내외신문 금감원 출입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 인하대병원, 인천 최초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로 지정
  • '인천형 행정체제 개편' 지역 뜻 하나로 모아 행안부에 건의
  • 인천시, GTX-B 조기 착공과 지역 균형발전에 합심
  • 인천시 '대한민국 청소년 박람회' 성료
  • 인천의 보물섬 '도도(島島)하게 살아보기' …올해 2000명 유치 목표
  • 인천시, 미추홀구' 전세사기피해자' 신속 지원 사전 조사 착수…6.1일까지 접수
  • 인천시 '장애인 가족돌봄 휴식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인천시 '희귀질환 극복의 날' 맞아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 인천시, APEC·고등법원·해사법원 유치 100만 서명운동 돌입
  • 인천시, 국내 최초 인공지능 적용한 '메타버스' 콘텐츠 공개
  • 인천시,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450억 원 추가 지원…업체당 최대 3천만 원
  • 인천시, 태풍 등 '이재민 임시주거시설'로 호텔 8곳 확보
  • 인천시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 이달 말 착공…27년 준공 예정
  • 인천시, 재외동포청 유치!…세계 초일류 도시로의 출발점
  • 인천시 '전세사기 피해 실태조사' 발표…"2969호, 보증금 2309억원"
  • 인천시, 전세사기 피해 소상공인 '최대 3천만원 정책자금' 지원
  • 인천시, 어린이들과 함께 생활 속 안전 체험…안전문화운동 캠페인 실시
  • 인천시 '공동주택 공사 91개 현장 안전점검' 실시
  • 세계 66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장, 인천에서 아시아의 미래 그린다
  • 인천시, 무주택 청년에 '전세대출 이자' 지원…최대 4년, 연 2%
  • 광고
    광고